본문 바로가기
엑셀

엑셀 DATEVALUE 함수, 날짜를 숫자로 변환

by 오늘의 배움터 2025. 8. 24.
반응형

엑셀을 쓰다 보면 날짜처럼 보이는데 함수가 값을 못 잡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  
예를 들어 "2025/08/23"이 셀에 보이는데 SUMIF, VLOOKUP은 결과가 0으로 나오기도 하지요.  
이럴 때 바로 DATEVALUE 함수가 큰 힘을 발휘합니다.

DATEVALUE 함수란?

DATEVALUE 함수는 텍스트 형태의 날짜를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‘날짜 일련번호’로 바꿔주는 함수입니다.  
엑셀은 내부적으로 날짜를 숫자로 저장하는데, 글자처럼 입력된 날짜는 계산에 활용할 수 없습니다.  
DATEVALUE를 쓰면 "글자 날짜" → "숫자 날짜" 변환이 가능합니다.

기본구문 

  =DATEVALUE(date_text)

- date_text : 텍스트 형태의 날짜 (예: "2025-08-23", "2025/8/23")

사용 예시

1) 단순 변환
=DATEVALUE("2025-08-23")  
→ 결과: 45795  
(엑셀이 날짜를 숫자로 저장한 값. 셀 서식을 "날짜"로 바꾸면 2025-08-23로 보임)

2) 셀 참조
A1 셀에 "2025/8/23"이 텍스트로 입력되어 있을 때
=DATEVALUE(A1)  
→ 결과: 45795

왜 필요한가?

- SUMIF, VLOOKUP 등 날짜 비교가 필요한 함수는 ‘텍스트 날짜’를 인식하지 못합니다.  

- 따라서 0이 나오거나 오류가 발생하는 경우가 많습니다.  

- DATEVALUE로 변환하면 정상적으로 계산됩니다.

예시)  

=SUMIF(데이터!$A$2:$A$100, DATEVALUE("2025/08/23"), 데이터!$B$2:$B$100)

DATEVALUE와 다른 함수 비교

- DATE : 연, 월, 일을 각각 숫자로 넣어서 날짜 생성 (예: DATE(2025,8,23))  
- VALUE : 숫자 모양의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 ("123" → 123)  
- TEXT : 숫자/날짜를 특정 서식의 텍스트로 변환 (예: TEXT(TODAY(),"yyyy-mm-dd"))  
- DATEVALUE : 텍스트로 쓰인 날짜를 날짜값으로 변환

 


정리

- DATEVALUE = "텍스트 날짜" → "숫자 날짜" 변환

- 날짜 계산이 안 될 때 가장 먼저 의심해야 할 함수

- SUMIF, MATCH, VLOOKUP 같은 함수와 같이 쓰면 문제 해결!

반응형